IT신문스크랩

[IT신문스크랩] 11월 과기인상에 서울대 고승환 교수…"장기 모사칩 기술 연구"

여름삐 2022. 11. 15. 12:33

본문 내용

https://www.yna.co.kr/view/AKR20221102046100017?input=1195m

더보기

(서울=연합뉴스) 문다영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1월 수상자로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를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고 교수는 기존 장기 모사칩 제작 공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투명 실리콘 미세패터닝' 기술을 개발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았다.

장기 모사칩이란 인체 장기의 생리학적 특성을 모사할 수 있는 칩으로, 인체 내 생리현상을 재현하기에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어 신약 개발에서 중요한 기술로 평가받는다.

기존의 장기 모사칩은 준비된 틀에 실리콘 기반의 투명 탄성체인 '폴리디메틸실록산'(이하 PDMS)를 부어 굳히는 '몰딩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제작에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고 공정도 복잡한데다 제한된 모양으로만 가공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고 교수 연구팀은 레이저를 이용해 PDMS 물질을 원하는 모양으로 쉽고 간단하게 만드는 새로운 '레이저 직접 가공법'을 개발하고, 높은 표면가공과 정밀도를 갖는 3차원 미세패터닝 제작 기술을 세계 최초로 고안했다.

고 교수 연구팀은 불투명한 PDMS가 투명한 PDMS보다 효과적으로 레이저를 흡수해 열분해 반응이 유도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 이러한 성과를 얻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고 교수는 수상을 기념해 과기정통부와 한 인터뷰에서 "레이저를 PDMS 물질에 조사하면 레이저가 지나간 부분만 검은색의 실리콘카바이드라는 물질이 생성되는데, 이것을 제거하면 PDMS의 다양한 3D 미세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며 "이 기술을 이용해 장기 모사칩에 적용하는 실험도 성공했다"고 말했다.

이 연구성과는 지난해 1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Nature Materials)'에 게재됐다.

 

본문의 근거 (객관적 수치)

요약

 '투명 실리콘 미세패터닝' 기술을 개발하여 적용한 장기 모사칩 제작

더보기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는 기존 장기 모사칩 제작 공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투명 실리콘 미세패터닝' 기술을 개발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았다.

기존의 장기 모사칩은 준비된 틀에 실리콘 기반의 투명 탄성체인 '폴리디메틸실록산'(이하 PDMS)를 부어 굳히는 '몰딩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고 교수 연구팀은 레이저를 이용해 PDMS 물질을 원하는 모양으로 쉽고 간단하게 만드는 새로운 '레이저 직접 가공법'을 개발하고, 높은 표면가공과 정밀도를 갖는 3차원 미세패터닝 제작 기술을 세계 최초로 고안했다.

고 교수 연구팀은 불투명한 PDMS가 투명한 PDMS보다 효과적으로 레이저를 흡수해 열분해 반응이 유도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 이러한 성과를 얻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레이저를 PDMS 물질에 조사하면 레이저가 지나간 부분만 검은색의 실리콘카바이드라는 물질이 생성되는데, 이것을 제거하면 PDMS의 다양한 3D 미세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

 


궁금한 점

  • 피부, 혈관 따로 따로 장기모사칩을 만들면, 피부에 대해 연구를 할 때 다른 부위의 조직과도 상호작용이 있을텐데 특정 장기(예: 피부)만 모사해도될까?